tail -f A.log | grep 'TIMESTAMP' | grep '12' grep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로그를 볼 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로 여러 옵션을 알아두면 좋을 것이라고 생각이 들어서 정리해 봤습니다! 실시간으로 로그를 보려면 tail -f 명령어 사용 이미 찍힌 로그들 확인하려면 cat 명령어 사용 gerp 명령어 OR 조건 1. -E 옵션을 붙여서 | 로 구분해주면 됩니다. tail -f A.log | grep 'Exception|ERROR' -> A.log 에서 'Exception' OR 'ERROR'가 있는 로그 출력 2. 아래와 같이 로그 2개를 동시에 grep 잡을 수도 있습니다 cat A.log -f B.log | grep -E 'Exception|ERROR' -> A.log 와..
Back-End
PostgreSQL 에서는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1, 컬럼2) VALUES ('값1','값2');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1, 컬럼2) VALUES ('값1','값2'),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1, 컬럼2) VALUES ('값1','값2'); 이런식으로 했던 기억이 있어서 MySQL 에서도 같겠거니 하고 해봤더니 SQL Error [1064] [42000] : You have an error in your SQL syntax; ~ 에러가 난다... 문법 에러라고 하니 구글링 해서 방법을 찾아보니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1, 컬럼2) VALUES ('값1','값2'), ('값1','값2'), ('값1','값2'); 이런식으로 insert 를 하면 된다고..
DB2 SQL ERROR sqlcode=-302 sqlstate=22001 테이블 컬럼의 사이즈가 Insert/Update 하려는 데이터의 사이즈보다 작을 때 발생.. 기존에 있는 컬럼의 사이즈와 Insert/Update 하려는 데이터들의 크기를 비교해 보면 해결가능!
CentOS에서 로그인 시 bash-4-2$ 가 나올때조치 방법 login as: root root@~~~'s password: Last login: Thu Dec 2 09:29:21 2021 from 172-10-200-123.lightspeed.rcsntx.sbcglobal.net bash-4.2$ 홈디렉토리에 설정파일이 잘못되어서 나오는 현상인데 홈디렉토리를 만들던지 있는 홈 디렉토리에 가서 /etc/skel/ 안에 있는 설정파일들을 가져와서 권한설정을 해주고 cp -rp /etc/skel/.b* /home/sample chown -R sample.sample /home/sample 다시 접속해 보면 bash-4.2$이 나오지 않는것을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