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에서 다른 서버로 방화벽이 뚫려있는지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워서 기록해 둘겸 정리! echo > /dev/tcp/1.2.3.4/3316 1.2.3.4 대신 확인할 서버 IP입력 하고 3316 대신 확인할 서버 PORT 번호 입력하면 됌. 빈 echo를 날리는 것이라고 하는데 바로 반응이 와서 뭔가 입력할수 있게 되면 방화벽이 뚫려 있는것! 뭔가 아무 반응도 없으면 방화벽이 안뚫려 있는 것!
Back-End
리눅스에서 메모리 확인하는 명령어가 free 인데 free -h 를 실행하면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 62Gi, 29Gi, 28Gi, 37Mi, 4.9Gi, 32Gi Swap: 7.9Gi, 81Mi, 7.8Gi 등 메모리 사용현황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본인의 경우에는 한 솔루션에서 OOM(out of memory)이 난 상황이라 해당 솔루션셋팅 xml에 들어가서 여기에 8G로 잡혀있던걸 16G로 수정후 다시 free -h 를 실행해서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 62Gi, 38Gi, 19Gi, 37Mi, 4.9Gi, 24Gi Swap: 7.9Gi, 81Mi, 7..
ORA-00911:문자가 부적합합니다. ORA-00911:invalid character 이런 에러가 나서 쿼리를 자세히 보는데 아무리 봐도 틀린 게 없어서 검색해 봤는데 SELECT * FROM 테이블명; 이렇게 세미콜론이 붙어 있는지 확인해 보고 세미콜론이 있으면 제거해주면 해결!
1. hostname -I 명령어 입력 hostname -I 2. ifconfig ifconfig ifconfig | grep 'inet' ifconfig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보여줍니다. inet: IP 주소(IPv4) inet6: IP 주소(IPv6) 3. ip addr ip addr ip addr | grep 'inet' ifconfig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net: IP 주소(IPv4) inet6: IP 주소(IPv6)
tail -f A.log | grep 'TIMESTAMP' | grep '12' grep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로그를 볼 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로 여러 옵션을 알아두면 좋을 것이라고 생각이 들어서 정리해 봤습니다! 실시간으로 로그를 보려면 tail -f 명령어 사용 이미 찍힌 로그들 확인하려면 cat 명령어 사용 gerp 명령어 OR 조건 1. -E 옵션을 붙여서 | 로 구분해주면 됩니다. tail -f A.log | grep 'Exception|ERROR' -> A.log 에서 'Exception' OR 'ERROR'가 있는 로그 출력 2. 아래와 같이 로그 2개를 동시에 grep 잡을 수도 있습니다 cat A.log -f B.log | grep -E 'Exception|ERROR' -> A.log 와..
PostgreSQL 에서는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1, 컬럼2) VALUES ('값1','값2');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1, 컬럼2) VALUES ('값1','값2'),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1, 컬럼2) VALUES ('값1','값2'); 이런식으로 했던 기억이 있어서 MySQL 에서도 같겠거니 하고 해봤더니 SQL Error [1064] [42000] : You have an error in your SQL syntax; ~ 에러가 난다... 문법 에러라고 하니 구글링 해서 방법을 찾아보니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1, 컬럼2) VALUES ('값1','값2'), ('값1','값2'), ('값1','값2'); 이런식으로 insert 를 하면 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