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근지 나가서 로그확인 시에 가끔 한글 인코딩이 깨져 있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한두 군데 그런 상황이었었는데 외근지 서버담당자와 이야기해 보다가 해결방법을 찾아서 정리 겸 기록해두려고 합니다. putty로 서버 접속했을 경우인데 putty 창 우클릭 -> Change Settings... 로 들어가 줍니다. Window -> Translation 으로 들어가서 Remote character set 을 맨 아래에 있는 Use font encoding을 선택해 줍니다. 그리고 LC_ALL="ko_KR.euckr"LANG="ko_KR.euckr" 이렇게 2개를 입력해서 설정을 바꿔주면 로그에 깨지던 인코딩이 제대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사업지 환경별로 다를 수 있는데 참고 삼아 정리해..
Back-End
git을 사용하면서 일단 깃 리파지토리를 생성 후 echo "# PortFolio-vue" >> README.mdgit initgit add README.mdgit commit -m "first commit"git branch -M main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hyunchang88/PortFolio.gitgit push -u origin main 이런식으로 명령어를 입력하여 깃에 올렸었는데 가끔가다가 remote origin already exists 에러가 발생해서 해결방법 정리 해두려고 합니다. 프로젝트 하나 복사해서 조금 다르게 수정하려고 깃 명령어를 하나씩 치다가보니 위와 같이 또 에러가 발생... 이건 origin 에 이미 연결이 되어 ..
검색을 해보다가 tomcat 의 구조에 대해 잘 정리해주신 글이 있길래 공부겸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https://cheershennah.tistory.com/111 톰캣 tomcat 구조 파악하기.톰캣 구조 파악하기. web 서버http 프로토콜 기반으로 web client (browser) 로부터의 요청을 서비스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그램. ex) apache ..역할: html, image, xml 등에 대한 처리 담당 web Application 서버cheershennah.tistory.com tomcat톰켓은 jsp환경을 포함하고 있는 servlet 컨테이너이다.서블릿 컨테이너는 사용자 입장에서 서블릿을 유지하고 호출하여 실행하는 쉘이다.톰켓은 크게 3가지 컨테이너로 구분한다.1. Stand..
리눅스 서버에서 ssl 인증서 만료일 확인하는 방법! 사용하는 서버마다 경로가 다를텐데 보통 /etc 하위에 넣는 것으로 보입니다. 만료일 확인 만료일 확인 [~~~ /etc/ssl/certs]$ openssl x509 -enddate -noout -in /etc/ssl/certs/ca-bundle.crt notAfter=Dec 31 09:37:37 2030 GMT 인증서 전체 유효기간 확인 인증서 전체 유효기간 확인 [~~~ /etc/ssl/certs]$ openssl x509 -dates -in /etc/ssl/certs/ca-bundle.crt notBefore=May 5 09:37:37 2011 GMT notAfter=Dec 31 09:37:37 2030 GMT
도커 컨테이너 확인명령어 docker ps 도커 접속 명령어 docker exec -it 도커ps에서나온name /bin/bash ex) docker exec -it ds_bank /bin/bash 도커 컨테이너에서 호스트로 파일 복사 docker cp 도커명:도커안에경로 호스트경로 ex) docker cp ds_bank:/app/AA /fsfile/AA
맨날 짜져 있는 쉘 스크립트만 보다가 갑자기 쉘하나는 짜서 서버 셋팅을 해야 해서... 급 서치하면서 처음으로 짜본 파일 백업하는 쉘 스크립트 #!/bin/bash # 백업할 대상 파일 original_AA="/file/model/AA" original_BB="/file/model/BB" # 날짜를 붙여서 백업 backup_AA="/file/model/backup/AA_$(date '+%Y%m%d')" backup_BB="/file/model/backup/BB_$(date '+%Y%m%d')" #위 코드대로라면 하루에 2번 이상 실행시 같은 파일의 이름이 존재하므로 #파일을 덮어쓰게 된다. 그래서 같은 이름의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존재한다면 파일 이름에 시간까지 붙여 백업하도록 작성 echo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