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ue cli 설치 및 vue 프로젝트 생성

2023. 11. 10. 14:41· Front-End/vueJS
목차
  1. vue cli 설치
  2. 1. vue cli 설치
  3. 2. vue 설치버전 확인
  4. Vue 프로젝트 생성
  5. 1. vue 프로젝트 생성
  6. 2. 프로젝트 생성 확인
  7. 3. vscode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 열기
  8. 4. 생성된 vue 프로젝트 실행
반응형
SMALL

cmd 창을 켜서

vueJS를 설치할 위치로 이동한 다음

 

vue cli 설치


1. vue cli 설치

 

install -g @vue/cli

 

를 입력해 줍니다.

 

 

위와 같이 설치가 완료되면

 

2. vue 설치버전 확인

vue --version

 

이렇게 입력해서 잘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Vue 프로젝트 생성

1. vue 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 생성할 위치로 가서 

 

vue create 프로젝트명

 

이렇게 입력해 줍니다.

 

프로젝트 명에 대문자가 포함되어 있을 시에는 

Warning: name can no longer contain capital letters

이런 에러가 발생하니 소문자로 해주시면 됩니다.

 

 

이런 식으로 preset을 선택하라고 나오는데

 

Default [Vue 3]로 선택을 해줬습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설치가 진행됩니다.

 

2. 프로젝트 생성 확인

 

dir을 눌러서 하위 디렉토리를 확인해 보면 프로젝트가 생성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 vscode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 열기

 

이제 사용할 툴을 이용해서 생성한 프로젝트를 열어줍니다.

저의 경우에는 vsCode를 사용하였습니다.

 

 

 

4. 생성된 vue 프로젝트 실행

 

프로젝트를 실행하려면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하여서

 

npm run serve

 

를 입력해 줍니다.

 

 

 

앱이 

 

http://localhost:8080/

 

여기에서 실행이 되었다고 하니 인터넷창을 열어서

 

http://localhost:8080/

를 접속해 보면

 

 

이와 같은 화면이 뜨면서 vue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LIST

'Front-End > vu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Vue.js ] Component name "index" should always be multi-word.eslintvue/multi-word-component-names 에러해결  (1) 2023.11.27
[ error ] json-server : 이 시스템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에러 해결  (1) 2023.11.20
[ vue.js ] The template root requires exactly one element. 에러  (0) 2023.11.14
[ Vue.js ] Parsing error: No Babel config file detected for 에러  (0) 2023.11.14
  1. vue cli 설치
  2. 1. vue cli 설치
  3. 2. vue 설치버전 확인
  4. Vue 프로젝트 생성
  5. 1. vue 프로젝트 생성
  6. 2. 프로젝트 생성 확인
  7. 3. vscode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 열기
  8. 4. 생성된 vue 프로젝트 실행
'Front-End/vu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Vue.js ] Component name "index" should always be multi-word.eslintvue/multi-word-component-names 에러해결
  • [ error ] json-server : 이 시스템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에러 해결
  • [ vue.js ] The template root requires exactly one element. 에러
  • [ Vue.js ] Parsing error: No Babel config file detected for 에러
- 광속거북이 -
- 광속거북이 -
IT관련 일하면서 공부 및 일상 에 관한 내용들을 기록하기 위한 블로그 입니다.
누리IT관련 일하면서 공부 및 일상 에 관한 내용들을 기록하기 위한 블로그 입니다.
- 광속거북이 -
누리
- 광속거북이 -
전체
오늘
어제
  • 카테고리 (456)
    • 구글문서 (4)
    • 설치방법들 (3)
    • FrameWork (73)
      • Django (6)
      • Python (32)
      • AngularJS (13)
      • spring (21)
    • Programing (61)
      • JAVA (11)
      • etc... (2)
      • 오류 해결 (29)
      • Algorithm (5)
    • Front-End (25)
      • CSS (3)
      • html (6)
      • javascript (10)
      • vueJS (5)
    • Back-End (5)
      • 리눅스 (12)
      • PostgreSQL (14)
      • MySQL (2)
      • Shell (1)
      • docker (1)
      • GIT (1)
    • Util (9)
      • BIRT (2)
      • JMeter (3)
      • MobaXterm Personal (1)
      • ClipReport (2)
    • 이클립스 설정 (10)
      • SVN (1)
    • 업무중 기록해둘 것들... (1)
    • 영화 (8)
    • etc.. (198)
      • 여행 (25)
      • 문화생활 (3)
      • tistory (3)
      • 글, 생각 (4)
      • 먹을 곳 (29)
      • issue (4)
      • 결혼 (1)
      • 가족여행기록 (1)
      • Tip (51)
      • 강아지 (5)
      • 일기 (0)
      • 게임 (3)
      • 주식 (7)
      • 코로나19 (7)
      • 맥북 (5)
    • 비공개 (0)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VSCode
  • 제주도
  • 윈도우10
  • 설정
  • 인텔리제이
  • PostgreSQL
  • 백준
  • 이클립스
  • 연천
  • 맛집
  • tomcat
  • 삼성증권
  • 포켓몬고
  • 설치
  • 카페
  • Java
  • IntelliJ
  • 리눅스
  • 해지
  • 합정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v4.2.1
- 광속거북이 -
vue cli 설치 및 vue 프로젝트 생성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